제 3장 한국의 protestant church - 1
1. 시대적 상황
우리는 반만년 역사를 가졌으나 근래에 들어 종교적으로 심한 허탈감을 느낌.(고려조 : 불교, 조선조 :유교 )
그러나 기독교가 전래되기 약간 이전은 종교적 공백기 였다. 당시 멕킨지는 당시 서울에는 종교적 행사가 없었다고 보고한다. 1866년 전쟁이 일어나고 1871년 로져스 함대와 전투를 벌이고 운양호를 몰고 온 일본군이 무력시위하여 1876년 한일 강화조약을 맺으며 계속해서 미, 일, 러시아와 수호조약을 맺음으로 당시 조선이 운둔국(세계속에서 알려지지 않
은 나라)으로 알려지기 시작함.
* 1884년 갑신 정변을 계기로 해서 망명 생활후 돌아온 일본 수신사 박영효가 일본 요꼬하마에서 조선 선교사로온 스크렌톤 목사(감리교)를 만남. 박영효는 당시에 우리나라에 선교사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선교사들이 와서 교육등 문화적인 필요를 채워달라고 부탁함. 우리 재래 종교는 한물 갔다고 말함.
* 1886년 한블 수호 조약에서 조약문 속에는 교회라는 말이 들어갔다. (나중 이단어 하나 때문에 미국 선교사들이 전도할때 쉬웠다.)
2. 유럽 christian들의 도래
1) 벨트브레와 하멜 일행이 오게됨.
1627년 네델란드 사람 벨트브레 일행 3사람이 동해안에 상륙함으로 시작. 이들은 동양에서 무역하고자 네델란드에서 일본으로 가다가 파선하여 경주 앞 바다에 표류. 이들은 물을 얻기 위해 표류했다가 억류되게되고 살아가던 도중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 났을때 같이 상륙한 2사람은 참전했다가 전사했고 벨트브레만 남았는데 전공이 인정되어 한부대를 이끄는 지휘관이다.
벨트브레가 표류한지 이십몇년이 지나 1653년에 하멜 일행이 본국을 떠나 일본으로 오다가 또 표류해 제주도로 오게된다. 일행 64명중 36명만이 살아 남았고 제주도에서 14년가 억류되 살다가 15명이 탈출하여 본국으로 돌아갔다.
- 하멜의 기사에서 보면 그들이 프로테스탄트 였음을 알수있다. -
2) 바실홀과 멕스웰의 내한.
1816년 영국 정부가 중국에 파송하는 William이라는 군함이 있었는데 Amhert 사절단이 있었다. 함장은 Maxwell, Bashall 사절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중국에 도착하여 암 홀스트 사절을 내려놓고 본국에서는 한국 서해안을 탐사 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같은 해에 한국 해안에 와서 해도를 작성했다.
이들이 마량진 앞 갈곳에 들렸을때 문정의 임무를 띤 첨사 (조대복)이 가서 물어 볼때 이 조대복에게 성경을 줌.(King James Version) - 최초로 한국에 전달된 성경. - 바실홀은 돌아가서 책을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