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직 신앙고백서 강해 - 7항. 성경의 완전성(충족성)

        

7항. 우리는 이 성경이 하나님의 모든 뜻을 완전하게 담고 있으며, 사람이 구원 얻기 위해 믿어야 할 것은 무엇이든지 그 안에서 충분하게 가르치고 있음을 믿는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요구하시는 예배의 완전한 방식이 충분히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누구라도 심지어 사도라도 우리가 지금 성경에서 배우는 것과 다르게 가르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사도 바울이 말한 것처럼 하늘로부터 온 천사라도 마찬가지이다(1:8). 하나님의 말씀에 어떤 것이라도 가감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12:32, 22:18,19), 그 사실에 의해서 성경의 교리는 모든 면에서 가장 완전하고 완벽하다는 것이 명백히 드러난다.

우리는 아무리 거룩한 사람들이 했더라도 사람의 글을 성경과 동등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뿐만 아니라 관습이나, 거대한 군중, 오래된 것, 시대와 인물의 계승, 공의회의 결정과 법규들도 하나님의 진리와 동등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진리가 모든 것 위에 존재하는 이유는 모든 사람들은 그 자체로 거짓말쟁이들이고 입김보다 가볍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영들이 하나님께 속하였나 분별하라,”(요일 4:1) 누구든지 이 교훈을 가지지 않고 너희에게 나아가거든 그를 집에 들이지도 말고 인사도 말라(요이 1:10)는 사도들이 우리에게 가르친 것처럼 이 무오한 규범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무엇이든지 전심으로 거절한다.

 

 개혁파 성도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이 항에서 고백하는 것은 믿고 구원받는데 필요한 것과 삶(사적 예배)과 의식(공적 예배) 모든 영역에서 우리를 구원하시는 하나님을 예배하는 데에 있어서 우리가 해야 할 것과 관련해서 성경은 충분하고 완벽하고 명백하다는 것을 고백합니다. 성경은 삶과 관련한 모든 것(누구와 결혼할 것인지, 어떤 직업을 구해야 하는지, 목회자의 복장에 검정색보다 파란색이 더 나은지)에 충분한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의도하는 목적에 대해서는 충분히 알려주고 있습니다. 첫 문장의 어법만으로도 상당히 많은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성경이 하나님의 모든 뜻(omnem Dei voluntatem)을 담고 있고 성경 안에는 모든 것을 풍부하게(abunde ea omnia doceri)고 있다는 것이 뜻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이 구절들은 믿고 구원 얻는데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지(quaecunque ab hominibus credi necesse est, ut salutem)라는 구절에 의해 한정되고 의미가 분명해 집니다. 이것이 성경의 충족성과 관련해서 우리가 성경의 명쾌함 또는 명백성을 말하는 이유인데, 한 마디로 성경은 구원의 목적들에 대해 완벽하다는 것입니다.

 

벨직 신앙고백서가 7항에서 말하려고 한 것은 하나님에 대한 공적 예배에 대한 성경의 충족성에 관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오늘날 기독교는 드 브레가 살던 로마 카톨릭 교회와 아주 많은 닮은꼴을 공유하고 있음을 깨달아야만 합니다. 오늘날 성경은 신학에서나 우리의 예배 모두에 충종한 것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실 신학에 있어서 신학적 근거들의 결핍이 어떻게 우리 시대의 개신교 교회 예배를 허탄한 무법천지로 이끌었는지를 압니다. 예를 들어, 죄인들의 기도문[맨 아래 부록 참고-번역자주]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도록 기도하라고 말하고 곳이 성경 어디에 있습니까? 만개한 알미니안인지 복음주의적 형태인지 모르지만 자유 의지에 관한 신학은 부흥주의적 관행과 결신기도(altar call)로 이끌었습니다.

다른 예를 들자면, 그리스도 또는 사도들이 예배에서 눈에 보이는 유형의 요소들을 사용하도록 명령한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어디에 있습니까? 드라마 형식으로 예배 실황을 중계하는 메가 처지(mega-church)입니까 아니면 소위 포스트모던 시대의 멀티미디어 연출 형식의 이머징 처지입니까? 이런 관행들은 성경 안에서 우리를 구원하시고 창조하신 하나님을 어떻게 경배해야 하는지를 정확하고 아주 상세하게발견할 수 있다는 확신의 결핍에서 나타난 결과입니다. 그 의도가 아무리 선하다 하더라도 사람이 만들어 낸 예배의 창작물들 때문에, 오늘날 개신교 예배는 역사적 개신교보다 로마 교회와 공통점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