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The Heidelberg Catechism A.D. 1563) 제 16주일
40문: 그리스도는 왜 “죽으시기”까지 낮아져야 했습니까?
답: 하나님의 공의와 진리 때문에 우리의 죗값은 하나님의 아들의 죽음 이외에는 달리 치를 길이 없습니다.
41문: 그리스도는 왜 “장사”되셨습니까?
답: 그리스도의 장사되심은 그가 진정으로 죽으셨음을 확증합니다.
42문: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서 죽으셨는데 우리도 왜 여전히 죽어야 합니까?
답: 우리의 죽음은 자기 죗값을 치르는 것이 아니며, 단지 죄짓는 것을 그치고, 영생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43문: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제사와 죽으심에서 우리가 받는 또 다른 유익은 무엇입니까?
답: 그리스도의 죽으심의 공효(功效)로 우리의 옛사람이 그와 함께 십자가에 달리고 죽고 장사되며, 그럼으로써 육신의 악한 소욕(所欲)이 더 이상 우리를 지배하지 못하게 되고, 오히려 우리 자신을 그분께 감사의 제물로 드리게 됩니다.
44문: “음부에 내려가셨으며”라는 말이 왜 덧붙여져 있습니까?
답: 내가 큰 고통과 중대한 시험을 당할 때에도 나의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나를 지옥의 두려움과 고통으로부터 구원하셨음을 확신하고 거기에서 풍성한 위로를 얻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그분은 그의 모든 고난을 통하여 특히 십자가에서 말할 수 없는 두려움과 아픔과 공포와 지옥의 고통을 친히 당하심으로써 나의 구원을 이루셨습니다.
1. 그리스도께서 어떻게 죽으셨다고 말씀하는가?
이단 *마르키온*은 그리스도께서 참으로 죽으셨다는 것을 부인하였고 그리스도는 그저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을 뿐 참 사람은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이단 *네스토리우스*(Nestorius)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서로 분리시키고서 하나님이 아들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셨다는 것은 인정하지 않고 다만 인간 그리스도만이 그렇게 죽은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 그릇된 주장들에 대하여 성경은 증언한다.그리스도는 참으로 죽으셨다. (마27:50, 막15:37)
2. 그리스도께서 죽으시는 것이 과연 필요했는가?
1) 하나님의 공의로우심 때문에: 죄의 삯은 사망이다. (롬6:23)
3. 그는 누구를 위하여 죽으셨는가?
이 교리에 대하여 가르치는 성경구절이 여러 곳이 있다. 요일2:2에는 *그는 우리 죄를 위한 화목 제물이니 우리만 위할 뿐아니요 온 세상의 죄를 위하심이라* 히2:9에는 *이를 행하심은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모든 사람을 위하여 죽음을 맛보려 하심이라* 고후5:15에는 *그가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으심은….이라고 증언한다. 또한 반대로 성경은 여러 곳에서 그리스도께서 택한 자들 자기 백성 , 지기 양 떼만을 위하여 죽으시고 기도하셨고 자신을 드리셨다고 증언한다. 참조(요한17:9, 마15:24, 마1:21, 히9:28, 사53:11, 엡5:25) 여기서 그리스도의 죽으심의 충족성(充足性: Sufficiency)과 유효성 (有效性: Efficiency)을 구별함으로써 조화시킨다. 그리스도의 보혈은 온 세상을, 온 세상의 인류를 구원하고도 남는 충족성이 있지만 실제적으로 볼때 제한된 사람들만이 구원을 얻는것을 보면 택한 백성들만이 즉 택자들 만이 구원을 얻는 것이다. 즉 그리스도는 멸망받을 모든 악인들이 핑계하지 못하도록 그의 공로에 대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게하신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죽으심의 유효성에 관하여는 오직 택한 자들만을 위하여 죽기를 뜻하신 것이다. 단순하게 유효한것이 아니라 택자들을 위하여 그 은혜와 생명을 유효적으로 베푸시고 믿음과 성령을 주신다. 그리하여 그들이 그리스도의 죽으심을 자신에게 적용시켜 그의 공로들의 유효성을 누리게하시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