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The Heidelberg Catechism A.D. 1563) 제 15주일
37문: “고난을 받으사”라는 말로 당신은 무엇을 고백합니까?
답: 그리스도는 이 세상에 사셨던 모든 기간에, 특히 생의 마지막 시기에 모든 인류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자신의 몸과 영혼에 짊어지셨습니다. 그분은 유일한 화목제물로 고난을 당함으로써 우리의 몸과 영혼을 영원한 저주로부터 구원하셨고, 우리를 위해 하나님의 은혜와 의와 영원한 생명을 얻으셨습니다.
38문: 그분은 왜 재판장 “본디오 빌라도 아래에서”고난을 받으셨습니까?
답: 그리스도는 죄가 없지만 세상의 재판장에게 정죄(定罪)를 받으셨으며, 이로써 우리에게 임할 하나님의 준엄한 심판에서 우리를 구원하셨습니다.
39문: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심”은 달리 돌아가신 것보다 특별한 의미가 있습니까?
답: 그렇습니다. 십자가에 달린 자는 하나님께 저주를 받은 자이므로 그가 십자가에 달리심은 내게 임한 저주를 대신 받은 것이라고 나는 확신하게 됩니다.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으사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죽으시고 장사 지낸 바 되셨고 지옥에 내려가셨고 그리스도의 고난 혹은 수난이 그의 잉태와 출생 직후에 제시되고 있다. 이것은 2가지 이유이다.
첫째:우리의 구원 전체가 그의 고난과 죽으심에 있기 때문이다.
둘째:그의 전 생애는 고난과 궁핍의 연속이었기 때문이다.
1.고난이란 용어는 어떻게 이해하여야 하는가?
고난(Passion) 이라는 용어는 그리스도의 낮아지심 전체 혹은 그의 낮아지심 전체의 순종으로 이해해야 하며 여기에는 그의 출생의 순간부터 그의 죽으심의 순간까지 그가 우리를 위하여 육체와 영혼으로 당하신 모든 비참 연약함 괴로움 고통 치욕 등이 다 포함된다. 그의 슬픔과 고뇌의 주요 부분은 영혼의 고통들이었다.이로써 그는 모든 인류의 죄를 대적하여 내리시는 하나님의 진노를 느끼셨고 감내하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고난이라는 용어를 특히 그리스도의 생애와 마지막 장 즉 그가 우리 죄 때문에 육체와 영혼의 극심한 고통들을 당하신 그 마지막 국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마26:38, 27:46, 사53:4-5,10)
2.그렇다면 그리스도는 어떤 고난을 당하셨는가?
1) 그가 누리셨을 모든 선한 것들과 더불어 최고의 행복과 기쁨을 잃은 고난이다.
2) 죄만을 제외한 우리의 본성의 모든 연약함들. 그는 주리셨고 목마르셨고 피로를 느끼셨고 슬픔과 괴로움을 당하셨다.
3) 극도의 궁핍함: *인자는 머리 둘 곳이 없다* (마8:20)
4) 무한한 모욕, 치욕, 비방,중상, 조롱, 시기, 신성모독, 거부, 배척을 당함, (사53:2)
5) 마귀의 시험: (히4:15)
6) 가장 치욕스러운 십자가의 죽음
7) 영혼의 가장 쓰라린 고뇌
3. 그리스도께서는 신성과 인성 모두에 따라서 고난당하셨는가?
그리스도는 오직 인성에 따라서만 육체와 영혼으로 고난을 당하셨다. 신성은 불변하며 고난 당할 수 없으며 영원하며 , 생명 그 자체이어서 죽을 수 없는것이다. 그러나 그는 인성에 따라서 고난을 받으시고 죽으심으로 사람들의 죄에 대하여 보상하셨다. (벧전3:18, 4:1,요한2:19, 10:18, 계1:18)
4.그리스도의 고난의 직접적인 원인은 무엇인가?
1) 인류를 향한 그의 사랑(요한3:16)
2) 죄와 사망 가운데 타락해 있는 자들을 향한 하나님의 긍휼
5.그리스도의 고난의 최종적인 원인과 결과는 무엇인가?
그것은 하나님의 영광과 우리의 구원이다.